티스토리 뷰

It

조직변화와 개발

IT eoeo25 2023. 1. 10. 18:26

수평연계 모형(horizontal linkage model)

계획된 내부 변화

상품 또는 서비스의 변화

모형의 구성요소 : 부문적 전문화, 경계역할, 수평적 연계

외부환경과 조직을 연결시키는 경계역할(boundary spanning role)의 수행

대표적인 경계역할의 수행 : 연구부문과 마케팅부문

내외부 변화

계획된 외부 변화

조직외부로부터 새로운 정보처리 기술 또는 의사소통 방법의 도입은 조직을 변화시키는 출발점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정보처리 및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을 들 수 있다.

계획되지 않은 내부 변화

조직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 구성에서의 변화

성과 차이

계획되지 않은 외부 변화

정부규제

경제적 경쟁

조직변화의 목표

조직에서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표 (Leavitt의 조직변화모델)

조직구조 : 통제범위, 부서설계변경, 직무절차 재정립등

기술 : 장비의 변화, 디자인 개선

사람 :교육, 훈련

변화에 대한 개인적 저항 발생 원인

경제적 불안정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관계의 위협

새로운 지식/기술의 학습

변화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결여

변화에 대한 조직적 장애의 원인

구조적 관성(안정성)

작업집단의 관성 : 사회적 규범의 변화

권력 균형의 파괴에 대한 위협

과거 변화노력의 실패경험

조직개발 기법

개인행동개발 기법

감수성 훈련(sensitive training)

집단행동개발 기법

서베이 피드백(survey feedback)

팀 구축(team building)

조직체행동개발 기법

관리격자 훈련(Managerial Grid Training)

직장생활의 질(Quality of Work Life : QWL)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 : MBO)

감수성 훈련

상호집단, 실험집단, T-집단 훈련(레빈이 창안)

대인관계에 대한 기술을 획득하는데 초점을 둠

문제해결 과제를 통하여 참가자들간의 실제 상호작용 유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행동에 대한 참가자들간의 토의와 자신들간의 상호 피드백 교환

자신의 가치관과 의식구조 이해, 자신의 행동 분석, 타인에의 영향인식

진행자는 직접적인 관여를 하지 않고,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만을 조성

토론내용은 특별한 주제에 한정되지 않음

효과에 대한 평가가 어려움

관리격자 훈련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직 전체에 대한 개선을 목적으로 함

정형화된 훈련 프로그램

관리격자 훈련 과정

1단계 : 관리스타일 식별

관리자들이 자신의 관리 스타일을 분석

리더십의 관리격자 모형 참조

2단계 : 생산에 대한 관심과 사람에 대한 관심에 대한 기술(skill) 프로그램

팀 훈련 프로그램

팀간 갈등을 줄이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

3단계 : 조직의 목표 식별 및 성과비교

목표의 식별

기준과 실제성과의 비교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 수립

4단계 : 지속적인 평가

직장생활의 질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구성원의 동기, 만족, 헌신 등의 요인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작업환경을 형성하는 노력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조직구성원들을 참여 시킴으로써 조직의 성과를 높이고 질을 개선하는 방법

직무재설계: 직무충실화(기술수준,다양성,자율성,피드백)

품질분임조(Quality Circles : QC)

QWL의 효과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헌신 증가

생산성 증가

조직 효과성(수익성 및 목표달성) 증가

QWL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조건

조직과 조직구성원의 협력관계

도출된 계획의 충실한 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