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ote

극성결합과 극성분자

IT eoeo25 2023. 1. 21. 00:56

극성결합과 극성분자
극성분자(polar molecule): 서로 합쳐졌을 때 알짜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극성결합-서로 상쇄되지 않는-을 가지고 있는 분자
이원자 분자가 극성결합을 가지고 있으면, 그 분자는 극성이다.
2개의 원자보다 많은 원자들을 갖는 분자들의 경우에, 둘 이상의 극성결합이 서로 상쇄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생각해보자. 상쇄되어 무극성분자이다.

극성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려면:
극성결합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라.
그 두 결합 원자들이 다른 전기음성도를 가지고 있으면 결합은 극성이다. 극성결합이 없다면, 그 분자는 무극성이다.
극성결합이 서로 합하여 알짜 쌍극자 모멘트를 형성하는지를 결정하라. 분자의 모양을 결정하려면 먼저 VSEPR 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중심 원자를 당기고 있는 밧줄로서 각 결합을 가시화해라. 그 분자들에는 높은 대칭성이 있는가? 밧줄의 당김은 상쇄되는가? 만약 그렇다면 알짜 모멘트가 없는 것이며, 그 분자는 무극성이다. 그 분자가 비대칭이고 밧줄의 당김이 상쇄되지 않는다면, 그 분자는 극성이다.

극성분자와 비극성 분자의 비교

물 분자는 극성이고 기름을 이루는 분자는 일반적으로 무극성이므로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다.









극성분자들은 마치 자석의 남극이 북극에 끌리듯이, 한 분자의 양전하 끝이 다른 분자의 음전하 끝으로 강하게 이끌리기 때문에 다른 극성분자와 강하게 상호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