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규모의 협소와 설비의 부족
경로당의 규모는 전국적으로 30평 미만이 전체의 72.4%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교적 협소한 실정임
경로당의 규모가 비교적 협소하다보니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상당한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
(2)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부재
경로당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대개 화투․장기․바둑, 중식제공, 건강교육, 건강체조, 건강요가, 양․한방치료, 방문진료, 노래교실, 웃음치료, 자원봉사, 나들이, 생신잔치 등임
그러나 개별 경로당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다양하지 못함
(3) 운영책임자의 인식과 전문성 결여
경로당에서 회장, 부회장, 총무 등을 포함한 운영책임자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경로당 운영책임자들이 아직도 외부에 대한 배타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하는 지원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거나, 회원모집에서 개방적이거나 적극적이지 못하여 경로당 운영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음
(4) 지원금의 부족과 지역별 형평성 결여
경로당에 제공하는 지원금은 운영비, 난방비, 냉방비 및 양곡비가 있으며, 난방비와 냉방비는 어느 정도 적절한 수준이라 할 수 있지만, 운영비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에 부족하고 양곡비도 다소 부족한 편임
지역 간에도 운영비, 난방비, 냉방비 및 양곡비에 차이가 존재하여 경로당 지원금의 지역별 형평성이 결여되어 있음
(5) 지역사회자원 활용의 부족
경로당의 운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 외에도 회원의 회비와 찬조금, 지역사회 유지의 후원금,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유대관계와 협력, 자원봉사자의 활동 등이 있어야 함
많은 경로당들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