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조선 시대의 천문대

IT eoeo25 2023. 2. 25. 22:34

o 천문대가 상설 천문대와 임시 천문대로 여러 곳에 산재

- 상설 천문대 ; 경복궁의 간의대(大簡儀臺)와 소간의대들인 관천대

- 임시 천문대 ; 일식, 월식, 혜성 출현시 임시로 사용함-서울 외곽, 지방

1) 경복궁 경회루 주변

천문관측의 중심은 한양, 그 중에서도 경복궁 경회루 주변이었다

o 경회루 북쪽 - 간의대, 규표, 혼의와 혼상이 에서 西로 나란히 있음

o 경회루 남쪽 - 물시계인 자격루와 자격루가 설치된 보루각

o 경회루 동쪽 - 옥루가 설치된 흠경각( 세종대왕을 위한 다목적 시계 )

2) 간의대(簡儀臺)

o 세종15(1433),돌로 된 약 9.5m,Hx14.4m,Lx9.8m,W 크기(돌난간) 관측대

o 정초(鄭招), 이천(李蕆), 정인지(鄭麟趾), 김빈(金鑌), 장영실(蔣英實) 참 여, 호조판서 안순(安純)이 명을 받아 세움

o 주 관측 종사자 : 이순지(李純之)와 김담(金淡)

o 설치 의기 : 간의(簡儀), 정방안(正方案), 혼천의(渾天儀)

o 세종 25(1443) 말경 경복궁 가장 북쪽 영추문 안으로 이전 설치.

3) 관천대(觀天臺) : 소간의대(小簡儀臺)

o 작은 규모의 천문대 : 소간의대(小簡儀臺)가 여러개 있었다.

o 창덕궁 왼편 북부 광화방(廣化坊) 2, 경희궁에 1개 설치.

북부 광화방관천대(1) 세종16(1434) 건립 1983년 해체후 재건

북부 광화방관천대(2) 세종16 건립 임진왜란 때 파괴

숙종(1688), 창덕궁 금호문 밖 재건

현재 창경궁 안에 있음

경희궁 개양문관천대 숙종 28(1702) 건립 1910년대에 헐림

() 북부 광화방관천대( 사적 제296 )

- 옛날 관상감의 본부가 있었던 광화방에 위치.

- 루훠스가 1936년 영문으로 발표하여 최초로 알려짐.

- 옛 휘문 고교 터( 종로구 계동 )의 남쪽 경계 붉은 벽돌 담의 기둥 으로 남아 있다가 현대그룹 사옥을 건축할 때 잠시 헐렸다가 복원.

- 장방형 화강암석 7단 축조물로 상층 6단의 높이는 365cm이고, 상단 의 넓이는 약 290 x 259cm로 사면에 둘러싸인 돌벽 사이 공간은 흙으로 채워져 있고, 그 중앙에 소간의를 설치했던 대석이 있다.

() 창경궁관천대( 보물 제851 )

- 본래 광화방에 있었던 서운관 역내의 광화방관천대(2)이다.

- 임진왜란 때 크게 손상을 입다.

- 숙종 14년 무진(1688)에 창덕궁 금호문 밖에 옮겨 재건하다.

- 여러번 이전된 후, 현재는 창덕궁이 아니라 창경궁에 있다.

- 크기 : 높이 220cm, 가로 240cm, 세로 230cm

- 화강암석으로 축조. 오르내리는 돌계단이 있고 윗면은 네 기둥에 난간이 있다. 중앙에는 소간의를 설치한 받침대가 있다.

() 경희궁관천대

- 숙종 28(1702)에 경희궁 개양문 밖에도 관천대가 세워지다.

- 궁궐지 4, 경희궁편에 기록으로 전해짐.

- 일제시 경성중학교를 지을 때 경희궁이 헐릴 때 헐리다. 이 때

관천대에서 사용한 수격식 혼천시계도 함께 없어졌다고 전해오다.

4) 간이 관측대와 임시 천문대

() 간이 관측대

- 왕조실록이나 증보문헌비고등의 문헌에 月臺, 日影臺등 의 간이 관측대 기록이 여러곳에 있다.

- 18세기경의 동궐도(東闕圖)에 혼의, 측우기, 일성정시의를 두었던 석대(石臺) 그림이 전해오다.

- 지방에도 경남 창원시 월영리에 월영대(月影臺)’ 각석이 있다.

() 임시 천문대

- 일식,월식,혜성과 같은 현상이 고도가 낮은 지평선 근처에서

일어날 때 주변의 높은 산을 임시 관측소로 이용

동쪽 지평선 관측 서울의 남산(목멱산)과 삼각산

서쪽 지평선 관측 강화도 마니산

남쪽 하늘의 현상 제주도 한라산까지 활용(, 노인성 관측)

5) 서운관의 확충

o 조선 건국 초기에는 고려말의 서운관을 그대로 계승.

o 세종 즉위후 변화; 즉위 후 2년에 축소하였다가 세종 7, 13, 19, 27 4회에 걸쳐 크게 확충- 15세기의 천문대로 세계에 독보적

세종시대의 서운관의 순수 전문직 직제와 관원수

세종 2 7 13 19 27

3 13

이전 이후

천문(天文) 20 10 25 35 35 35

(장루掌漏) (4 2)

(시일視日) (4 2)

(司曆사력) (4 2)

(감후監候) (4 2)

(사진,司辰) (4 2)

금루(禁漏) 4 2 44 44 44 44

풍수학(風水學) ? ? 11 11 11 11

역산소(曆算所) - - - - 10 10

명과학(命課學) - - - - - 10

총인원 20 + ? 10 + ? 80 90 100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