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통신회선의 구성 방식

IT eoeo25 2023. 2. 3. 21:54

2선식과 4선식
물리 매체(전송회선)와 전송 장치(모뎀)에 연결하는 통신회선의 개수에 따라
분류한 방식
2선식(2W, 2Wire) : 신호선과 공통 접지선(Ground)이 선 2개로 구성
양방향 통신에서 위아래로 전송할 때 동일한 전송로 사용
4선식(4W, 4Wire) : 신호선과 공통 접지선이 선 4개로 구성
양방향 통신에서 위아래로 전송할 때 별도의 전송로 사용

점-대-점 회선 방식(Point to Point, Peer-to-Peer)
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
응답 속도가 빨라 주로 고속 처리에 이용
이 방식은 전화회선을 구성하는 데도 이용

다지점 회선 방식(Multipoint Line, Multidrop Line)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전송회선 1개에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
폴링(Polling) : 단말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
컴퓨터 감시 프로그램에서 신호를 보내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주기적
으로 검사
선택(Selection) : 컴퓨터에서 특정 단말기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주로 이용
특정 단말기를 지정하는 제어 문자를 데이터 앞에 포함시켜 전송
경제적, 짧은 시간 동안 회선을 운영하므로 주로 조회 처리할 때 사용
경쟁(Contention) : 단말 장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회선에 접근하는 방법
가장 간단하지만 효율적이진 않음

집선 회선 방식(Line Concentration)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중심 부분에 집선 장치를 설치한 후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하는 방식
집선 장치는 단말기에서 저속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아 컴퓨터에 고속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함
통신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단말기의 회선 사용률이 낮을 때 적합

회선 다중 방식(Line Multiplexing)
일정한 지역에 있는 단말기 여러 대를 그 지역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 다중화
장치(Multiplexer)에 연결하고, 다중화 장치와 컴퓨터 사이는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
회선 사용률이 비교적 높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도 적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