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ote

침사지

IT eoeo25 2023. 2. 14. 22:28

4.침사지

하천표류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모래유입 방지 목적으로 도수시설에 설치.

구조: 원수와 함께 유입된 모래를 침강제거시키는 시설로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철근콘크리트구조로 그 유입부, 유출부를 각각 점차 확대축소되는 구조로 한다.

–침사지의 침사효율은 침사지 전단면에 대해서 흐름의 상태, 정류(整流)의 양부(良否)에 좌우된다. 특히 유입부나 유출부의 단면변화가 큰 곳에서는 와류나 역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확대축소를 완만하게 할 필요가 있다.

}침사지 설치 시 고려사항

침사지 위치: 가능한 한 취수구에 가까운 제내지에 설치.

침사지의 모양 : 장방형으로 하며 유입부와 유출부는 각각 점차 확대축소되는 모양으로 만든다. 길이와 폭의 비는 38가 되게 한다.

침사지의 수 : 2개 이상으로 하되, 1개의 경우는 가운데 벽을 설치해서 두 부분으로 나누거나 측관(by-pass)을 설치하여야 한다.

침사지의 용량 : 계획취수량을 1020분간 저류 수 있도록 한다.

침사지내의 유속 : 27 cm/s가 되게 한다.

침사지의 상단높이: 침사지내 고수위보다 높게 하며, 월류설비가 없을 때는 60 cm100cm, 월류설비가 있을 때는 30 cm 정도 높게 한다.

침사지의 유효수심 : 34 m가 표준이나 침사된 퇴사깊이 0.51 m를 추가해야 한다.

침사지의 바닥 : 모래제거를 위해서 중앙에 도랑을 만들고 종방향으로 배수구를 향해서 1/100, 횡방향으로 중심을 향해서 1/50 정도의 경사를 두어야 한다.

한냉지에서 저온으로 지내 수면이 결빙하거나, 강설에 의해서 수중에 눈이나 얼음이 보이면 이에 대한 장해방지책을 강구해야 된다.

부대설비 : 유입정류벽 하류에 70°의 각도로 스크린을 설치하고, 유입 및 유출부에는 제수밸브 혹은 수문 설치.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수로의 장단점  (0) 2023.02.15
조명의용어및단위  (0) 2023.02.14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발전 방안 케어매니저의 활용  (0) 2023.02.14
경로당  (0) 2023.02.13
경로당 운영의 문제점  (0) 202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