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ote

빈혈의 분류와 진단

IT eoeo25 2023. 2. 18. 22:30

빈혈

단위체적당의 적혈구 수 또는 헤모글로빈 농도가 감소한 상태로

혈액 사이에 O2 CO2 교환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

형태학적 분류

적혈구의 크기나 혈색소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 평균 적혈구 용적

(MCV),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MCH),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MCHC)

철 결핍성 빈혈

식사요법

(1) 충분한 철 섭취

(2) 충분한 열량 섭취

(3)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

- 동물성 단백질 총 단백질량의 ½ 이상

(4) 충분한 양의 비타민 섭취: 비타민 C

(5) 지방 과다 섭취 금지

(6) 위산 분비 도움: 꼭꼭 씹어 먹기, 신맛 나는 식품 먹기

(7) 식사 전후 철의 흡수를 저해하는 녹차, 커피, 홍차 등 섭취 제한

- 차에 존재하는 탄닌, 커피 등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à 철의 흡수 감소

14

헴철

식품 내 철: 헴철과 비헴철 형태

헴철: 미오글로빈, 일부 효소의 구성성분

비헴철: 곡류, 채소 등의 식물성 식품, 동물성 식품에서도 헴철과 함께 존재함

흡수: 헴철 1030%, 비헴철 210%

육류단백질

육류에 존재하는 철의 40%는 헴철

육류의 헴철은 흡수 잘 되며 비헴철 흡수도 증가시킴

15

철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요인

위산

위에서는 철이 흡수 되지 않음

위산: 2(Fe3+)을 흡수가 용이한 1(Fe2+)로 전환시키며, 철을 용해시킴으로써 비헴철의 흡수를 증가시킴

비타민 C

비타민 C는 제2철을 제1철로 환원 à 철 흡수 증가

철겹핍성 빈혈: 전 빈혈의 60-80%

소적혈구 저색소성 빈혈

- 적혈구 크기 작음

- 혈액 내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농도 감소

엽산 결핍성 빈혈(거대적아구성 빈혈)

엽산은 DNA 합성을 촉진하여 적혈구 합성과 성숙을 위한 DNA 합성에 필수적인 영양소

결핍시: 적혈구는 크고 미성숙한 거대적아구 형성

식사요법

목적: 엽산의 섭취 증가, 엽산의 대사와 관련이 있는 비타민 B12 섭취 증가

엽산은 가열에 의해 쉽게 파괴되므로 과일과 채소는 신선한 상태, 조리시 살짝 데치는 정도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비타민 B12는 엽산 대사에 필수, 따라서 결핍되면 엽산 결핍과 같은 거대적아구성 빈혈 일으킴

신경세포 형성에도 관여하므로 신경장애 발생(à 악성빈혈)

원 인

비타민 B12 결핍

비타민 B12 흡수에 필요한 위 내적인자 부족 회장의 염증 질환, 회장 절제 시

동물성 식품에 많이 들어 있어 완전채식자

2)

위선

벽세포: 염산(HCl) 및 비타민

B12 소화 돕는 내적인자 분비 주세포: 펩시노겐 분비

점액()세포: 뮤신 분비

위에서의 소화

소화: 단백질의 소화만 일어남

펩신: 단백질 분해와 세균 살균

- 염산은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변화시킴

세 부분: 십이지장, 공장, 회장

- 십이지장: 췌액과 담즙 유입

- 공장: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

- 회장: 비타민 B12 흡수, 담즙 흡수

식사요법

, 쇠고기, 돼지고기, 우유 및 유제품 자주 먹기

고단백 식사

녹황색 채소 충분히 섭취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국불허승객(INAD : Inadmissible Passenger) INAD 절차  (0) 2023.02.20
혈액의 구성과 기능  (0) 2023.02.19
당뇨병의 정의  (0) 2023.02.17
개수로의 장단점  (0) 2023.02.16
관수로의 장단점  (0) 202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