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글로벌 사회와 한국: 세계화 시대의 정치

1. 국제사회의 특성: 약육강식의 정글에서 지구촌으로

국제사회의 특성

국가: 정부가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음

국제사회: 국제기구 존재하나 강제력 없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통일된 강제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무엇일까?

세계화 된 오늘날 국가들 간 교류의 확대가

국가들 간 상호 의존성이 높아져

국가간 대립적 관계에서 점차 상호 협력적인 관계로 변화 함

2. 근대적 국제사회의 형성과 전개 :

냉전에서 세계화로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사회 : 냉전

미국 VS 소련

자유주의 VS 공산주의 이념대립

군비경쟁, 군사 문제에 치중

- 80년대 이후 국제 교류의 증가 및 소련 붕괴

+

과학기술의 발달(교통 및 통신)

=> 냉전의 종식과 세계화 : 지구촌 시대의 정치

3. 세계화의 모습과 세계화 시대 국제관계의 특성

세계화의 특성

① 생산과 판매의 세계화 : 다국적기업의 등장

② 금융의 세계화 : 국제 경제의 발전

③ 문화의 세계화

국제관계 특성의 변화

① 쟁점의 다양화 : 안보&군사에 국한 -> 협력과 갈등을 모두 고려

② 다양한 행위자의 등장 : 개인, 국가, 국제기구 등의 다양한

국제사회 행위자 등장

③ 주권의 상대화 혹은 약화

④ 세방화 현상(glocalization)

세계화 현상에 대한 평가

긍정

안보적 긴장 완화

민주화 & 인권의 신장

자유로운 교역을 통한 경제적 발전

부정

빈부격차의 세계화

문화 제국주의

국제 범죄 & 환경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