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이 변하면 총수요곡선 자체가 이동.

중앙은행은 화폐공급을 조절하여 (즉, 통화정책을 통하여) 이자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현재의 이자율 수준에서 통화량이 증가하면,

소득이 일정해 거래적 화폐수요는 같은데 사람들이 필요 이상의 화폐를 보유하게 됨 이 화폐를 처분하기 위해 금융자산 수요 증가  금융자산 가격 상승, 이자율은 하락.  이자율이 하락하면 화폐보유의 기회비용이 감소하므로 화폐수요 증가  화폐시장의 균형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