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명령어 실행

IT eoeo25 2022. 8. 16. 21:18

명령어 사이클 (instruction cycle)

CPU가 한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체 처리 과정으로서, CPU가 프로그램 실행을 시작한 순간부터 전원을 끄거나 회복 불가능한 오류가 발생하여 중단될 때까지 반복

부사이클(subcycle)

인출 사이클(fetch cycle) : CPU가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읽어오는 단계

실행 사이클(execution cycle) : 명령어를 실행하는 단계

기본 명령어 사이클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CPU 내부 레지스터들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

다음에 인출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각 명령어가 인출된 후에는 자동적으로 일정 크기(한 명령어 길이)만큼 증가

분기(branch)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목적지 주소로 갱신

누산기(Accumulator: AC)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레지스터의 크기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비트 수(단어 길이)

명령어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IR)

가장 최근에 인출된 명령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터

기억장치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MAR)

PC에 저장된 명령어 주소가 시스템 주소 버스로 출력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주소 레지스터

기억장치 버퍼 레지스터(Memory Buffer Register: MBR)

기억장치에 쓰여질 데이터 혹은 기억장치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레지스터

데이터 통로가 표시된 CPU 내부 구조

인출 사이클

인출 사이클의 마이크로 연산

t0 : MAR  PC

t1 : MBR  M[MAR], PC  PC + 1

t2 : IR  MBR

단, t0, t1 및 t2는 CPU 클럭의 주기

[첫번째 주기] 현재의 PC 내용을 CPU 내부 버스를 통하여 MAR로 전송

[두번째 주기] 그 주소가 지정하는 기억장치 위치로부터 읽혀진 명령어가 데이터 버 스를 통하여 MBR로 적재되며, PC의 내용에 1을 더한다

[세번째 주기] MBR에 있는 명령어 코드가 명령어 레지스터인 IR로 이동

(예) CPU 클럭 = 100㎒ (클럭 주기 = 10㎱)

 인출 사이클 : 10㎱ x 3 = 30㎱ 소요

인출 사이클의 주소 및 명령어 흐름도

실행 사이클

CPU는 실행 사이클 동안에 명령어 코드를 해독(decode)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연산들을 수행

CPU가 수행하는 연산들의 종류

데이터 이동 : CPU와 기억장치 간 혹은 I/O장치 간에 데이터를 이동

데이터 처리 : 데이터에 대하여 산술 혹은 논리 연산을 수행

데이터 저장 : 연산 결과 데이터 혹은 입력장치로부터 읽어 들인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

제어 :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결정

실행 사이클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연산들은 명령어에 따라 다름

기본적인 명령어 형식의 구성

연산 코드(operation code)

CPU가 수행할 연산을 지정

오퍼랜드(operand)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addr)

[사례 1] LOAD addr 명령어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CPU 내부 레지스터인 AC로 이동하는 명령어

t0 : MAR  IR(addr)

t1 : MBR  M[MAR]

t2 : AC  MBR

[첫번째 주기] 명령어 레지스터 IR에 있는 명령어의 주소 부분을 MAR로 전송

[두번째 주기] 그 주소가 지정한 기억장소로부터 데이터를 인출하여 MBR로 전송

[세번째 주기] 그 데이터를 AC에 적재

[사례 2] STA addr 명령어

AC 레지스터의 내용을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명령어

t0 : MAR  IR(addr)

t1 : MBR  AC

t2 : M[MAR]  MBR

[첫번째 주기] 데이터를 저장할 기억장치의 주소를 MAR로 전송

[두번째 주기] 저장할 데이터를 버퍼 레지스터인 MBR로 이동

[세번째 주기] MBR의 내용을 MAR이 지정하는 기억장소에 저장

[사례 3] ADD addr 명령어

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AC의 내용과 더하고, 그 결과는 다시 AC에 저장하는 명령어

t0 : MAR  IR(addr)

t1 : MBR  M[MAR]

t2 : AC  AC + MBR

[첫번째 주기] 데이터를 저장할 기억장치의 주소를 MAR로 전송

[두번째 주기] 저장할 데이터를 버퍼 레지스터인 MBR로 이동

[세번째 주기] 그 데이터와 AC의 내용을 더하고 결과값을 다시 AC에 저장

ADD 명령어 실행 사이클 동안의 정보 흐름

[사례 4] JUMP addr 명령어

오퍼랜드(addr)가 가리키는 위치의 명령어로 실행 순서를 변경하는 분기(branch) 명령어

t0 : PC  IR(addr)

명령어의 오퍼랜드(분기할 목적지 주소)가 PC에 저장

다음 명령어 인출 사이클에서 그 주소의 명령어가 인출되므로 분기가 발생

어셈블리 프로그램 실행과정의 예

주소 명령어 기계 코드
100 LOAD 250 1250
101 ADD 251 5251
102 STA 251 2251
103 JUMP 170 8170

셀 병합

행 분할

열 분할

너비 맞춤

삭제

100번지의 첫 번째 명령어 코드가 인출되어 IR에 저장

250 번지의 데이터를 AC로 이동

PC = PC + 1 = 101

두 번째 명령어가 101번지로부터 인출되어 IR에 저장

AC의 내용과 251 번지의 내용을 더하고, 결과를 AC에 저장

PC의 내용은 102로 증가

세 번째 명령어가 102 번지로부터 인출되어 IR에 저장

AC의 내용이 251 번지에 저장

PC의 내용은 103으로 증가

네 번째 명령어가 103 번지로부터 인출되어 IR에 저장

분기될 목적지 주소, 즉 IR의 하위 부분(170)이 PC로 적재(다음 명령어 인출 사이클에서는 170 번지의 명령어가 인출)

인터럽트 사이클(interrupt cycle)

인터럽트

프로그램 실행 중에 CPU의 현재 처리 순서를 중단시키고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외부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오면,

CPU는 원래의 프로그램 수행을 중단하고,

요구된 인터럽트를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먼저 수행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nterrupt service routine: ISR)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프로그램 루틴.

인터럽트에 의한 제어의 이동

인터럽트 처리

인터럽트가 들어왔을 때 CPU는

어떤 장치가 인터럽트를 요구했는지 확인하여 해당 인터럽트서비스루틴을 호출

서비스가 종료된 다음에는 중단되었던 원래 프로그램의 수행을 계속

CPU의 인터럽트 처리 동작

현재의 명령어 실행을 끝낸 즉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PC의 내용)를 스택(stack)에 저장  일반적으로 스택은 주기억장치의 특정 부분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호출하기 위하여 그 루틴의 시작 주소를 PC에 적재이때 시작 주소는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로부터 전송되거나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  자세한 사항은 제7장에서 설명

인터럽트 사이클이 추가된 명령어 사이클

인터럽트 사이클의 마이크로 연산

t0 : MBR  PC

t1 : MAR  SP, PC  ISR의 시작 주소

t2 : M[MAR]  MBR

단, SP는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첫번째 주기] PC의 내용이 MBR로 전송

[두번째 주기] SP의 내용이 MAR로 전송되고, PC의 내용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시작 주소로 변경

[세번째 주기] MBR에 저장되어 있던 원래 PC의 내용이 스택에 저장

인터럽트 사이클의 마이크로 연산 예

아래 프로그램의 첫 번째 명령어인 LOAD 250 명령어가 실행되는 동안에 인터럽트가 들어왔으며, SP = 999,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시작 주소 = 650 번지라고 가정

100 LOAD 250

101 ADD 251

102 STA 251

103 JUMP 170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온 경우의 상태 변화

다중 인터럽트 (multiple interrupt)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동안에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것

다중 인터럽트의 처리방법

CPU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처리하고 있는 도중에는 새로운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오더라도 CPU가 인터럽트 사이클을 수행하지 않도록 방지

인터럽트 플래그(interrupt flag) = 인터럽트 불가능(interrupt disabled)

시스템 운영상 중요한 프로그램이나 도중에 중단할 수 없는 데이터 입출력 동작 등을 위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데 사용

인터럽트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인터럽트가 처리되고 있는 동안에 우선순위가 더 높은 인터럽트가 들어오면 현재의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수행을 중단하고 새로운 인터럽트를 처리

다중 인터럽트 처리

장치 X를 위한 ISR X를 처리하는 도중에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장치 Y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와서 먼저 처리되는 경우에 대한 제어의 흐름

간접 사이클(indirect cycle)

명령어에 포함되어 있는 주소를 이용하여, 실제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는 사이클 간접 주소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에서 사용

인출 사이클과 실행 사이클 사이에 위치

간접 사이클에서 수행될 마이크로-연산

t0 : MAR  IR(addr)

t1 : MBR  M[MAR]

t2 : IR(addr)  MBR

인출된 명령어의 주소 필드 내용을 이용하여 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실제 주소를 인출하여 IR의 주소 필드에 저장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 세트  (0) 2022.08.16
명령어 파이프라이닝  (0) 2022.08.16
Spring AOP 4-1 AOP  (0) 2022.08.15
Dependency Injection 3-4 Annotation 기반 설정  (0) 2022.08.15
Dependency Injection 3-3 Dependency Injection  (0) 202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