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포트폴리오(portfolio)의 개념
포트폴리오(portfolio)
투자 자산의 집합

시장포트폴리오 (market portfolio)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투자대상들의 시장가치에 비례하여 투자한 가치가중포트폴리오


분산투자와 위험분산효과
위험분산효과의 본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자산의 수가 증가할수록, 개별자산 수익률의 분산이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분산에 미치는 영향력은 감소
자산들의 가격이 항상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는 않으므로, 여러 자산에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면 개별자산에 특유한 정보의 영향이 감소
위험분산효과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는 자산의 수가 증가하고 자산 간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커짐

분산투자(diversification)
“한 바구니에 모든 계란을 담지 말라(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집중투자가 아닌 포트폴리오 구성 자산의 다양화

효율적 포트폴리오(efficient portfolio)
투자기회집합에서 평균-분산기준에 의해 가장 우월한 포트폴리오로 동일한 기대수익률을 가진 포트폴리오 중에서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며, 동시에 동일한 표준편차를 가진 포트폴리오 중에서 기대수익률이 가장 큰 포트폴리오

효율적 효율선(efficient frontier) 또는 효율적 집합(efficient set)
효율적 포트폴리오의 집합으로 모든 포트폴리오에서 평균-분산 기준에 의해 나머지 포트폴리오를 지배하는 포트폴리오의 집합이자, 위험회피적 투자자들이 선택하는 포트폴리오의 집합


위험(risk)
무위험자산(risk-free asset)의 의미와 성질

미래에 실현될 수익률이 확실한 자산
사전적 기대수익률과 사후적 실현수익률이 동일
수익률의 표준편차는 0

현실세계에서 무위험자산
일반적으로는 정부가 발행하는 단기채권
미국 : 3개월 만기의 단기 재정증권(T-bill)
한국 : 국고채 3월물 또는 3개월 만기 양도성 예금증서(CD)수익률

.


최적포트폴리오의 선택

무위험자산이 존재하는 새로운 효율선은 위험자산만 존재하는 효율선을 지배
투자자들은 자본배분선의 기울기인 위험보상비율이 극대화되는 포트폴리오 M선택
투자자들은 FP상의 포트폴리오들보다 FM 상의 포트폴리오들을 선호하여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

무위험자산이 존재하는 새로운 효율선은 위험자산만 존재하는 효율선을 지배
투자자들은 자본배분선의 기울기인 위험보상비율이 극대화되는 포트폴리오 M선택
투자자들은 FP상의 포트폴리오들보다 FM 상의 포트폴리오들을 선호하여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


대여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F와 M사이: 투자원금을 무위험자산(F)과 위험자산에 각각 배분하여 구성한 포트폴리오

차입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M과 B사이: 투자자 자신이 가진 금액까지 합산한 투자금액을 모두 투자한 포트폴리오


위험(risk)에 대한 태도
위험에 대한 선호

위험회피성(risk aversion)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성향
동일한 기대수익률을 가져다주는 두 투자안 중에서 하나만을 선택할 경우, 불확실성이 없거나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투자안을 택함
논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이론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성향을 갖고 있다는 경험적 관찰에 근거한 행태적인 가정

투자자의 위험 성향과 투자안의 선택
투자자는 기대수익률과 위험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도인 효용(utility)을 비교하여 투자안을 선택


위험회피성(risk aversion)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이 불확실성이 없거나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투자안을 택하는 경향
재무학의 기본적인 가정 중의 하나로, 경험적 관찰에 근거한 행태적 가정
위험회피적 투자자는 위험자산에 투자 시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기를 기대
위험회피성향이 높을수록 위험에 대해 더 높은 보상을 요구

위험에 대한 투자자의 성향
위험회피적(risk aversion) 투자자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위험이 작을수록 효용이 증가하며, 위험이 동일한 경우 기대수익률이 높을수록 효용이 증가

위험선호적 (risk loving) 투자자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위험이 클수록 효용이 증가하는 투자자

위험중립적(risk neutral) 투자자 위험에 관계 없이 기대수익률이 클수록 효용이 증가


위험의 종류

거시정보(macroeconomic variable)는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침 ☞ 시장내 모든 자산의 가격이 동일한 방향으로 변동 위험분산효과를 얻기 위해 모든 주식을 보유할 필요는 없으며, 실무적인 관점에서 20~30 개 정도의 주식만 보유해도 고유위험은 대부분 제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