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커패시터 간에 어떠한 상호작용도 거의 발생하지 않음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는 병렬 연결된 저항이나 인덕터와 같은 더하는 방법 사용

1/C = 1/C1 + 1/C2 + 1/C3+ … + 1/Cn

고정 커패시터
고정 커패시터(fixed capacitor)는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할 수 없고, 주변 환경과 회로의 조건이 변화해도 커패시턴스 값이 변화하지 않음

유전체 물질
두 판 사이에 끼워 넣는 물질을 커패시터의 유전체(dielectric)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커패시터의 두 판 사이에도 어떤 재료들을 끼워 넣을 수 있음
유전체 재료들은 전기장(electric field)은 잘 수용하지만, 전기 전류(electric current)에 대해서는 매우 불량한 전도체
두 판의 표면적과 두 판의 간격이 주어져 있을 때, 삽입된 고체 유전체는 커패시턴스를 증가. 고체 유전체 역시 두 판이 매우 가깝게 함께 위치하도록 판 사이에 삽입하여 압착시킨 후 말아 올리고 하는 것이 가능
기하학적 배열은 단위체적당 커패시턴스를 최대화


종이 커패시터
전자공학의 초창기에는 통상적으로 금속 박의 두 조각 사이에 광물성 기름에 담근 종이를 끼워 넣고 구조물을 말아 올린 후, 금속 박의 두 조각에 전선 도선을 부착하고, 감아올린 박과 종이를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원통형 케이스 안에 넣어 포장하는 방식으로 커패시터 제작
오래된 전자장치 내에서 여전히 종이 커패시터(paper capacitor)가 간혹 발견

마이카 커패시터
마이카(mica)
고체이면서 투명하고, 작고 얇은 박판으로 벗겨져 내리는 자연발생적 광물
커패시터 제작을 위한 매우 우수한 유전체를 만듬

마이카 커패시터는 금속 박판과 마이카 층을 번갈아 쌓거나 마이카 박판에 은(silver) 잉크를 사용해서 대량 생산

세라믹 커패시터
세라믹 재료(ceramic material)는 유전체로 잘 동작
세라믹 커패시터 만들기
금속 박판들을 얇고 납작한 세라믹 웨이퍼(wafer)들과 번갈아가며 쌓음
마이카처럼 세라믹은 낮은 손실을 가지므로 높은 효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