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기장에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교류 전하의 흐름을 방해

커패시턴스의 특성
매우 우수한 전기 도체인 금속으로 된 커다란 두 개의 얇은 평판을 상상
두 판은 오직 1피트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가정
이 두 장의 금속판이 배터리의 양단에 연결된다면, 한 장은 양(+) 전하로 다른 한 장은 음(-) 전하로 각각 전기적 충전이 될 것

만약 판이 작다면, 두 판은 모두 거의 순간적으로 충전
두 판이 크기 때문에 음전기 판이 최대의 음 전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 양전기 판이 최대의 양 전위에 도달하는 시간 동일 소요

두 판과 두 판 사이의 공간이 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 : 커패시턴스 (capacitance) 특성
수량 혹은 변수로서 커패시턴스는 이탤릭체 대문자 C로 표기


실용적 커패시터
유효 표면적을 얻기 위한 커패시터 구성
금속막(foil)의 두 박판(sheet) 혹은 조각(strip)을 서로 한 판 위에 다른 한 판을 위치
종이와 같은 비전도성의 얇은 판으로 두 판을 격리
전체적인 구조물을 말아서 커다란 유효표면적 발생
다른 방법으로는 각기 여러 판을 갖는 금속판 세트를 두 개 만들고 두 세트 사이를 공기로 채워 함께 맞물린(meshed) 형태로 만듦

커패시터에서 두 판 사이에 특정 종류의 유전체(dielectric)를 끼워 넣으면 전속 밀도 증배

커패시턴스는 전도성 판(plate)이나 박판의 표면적에 정비례

전도성 박판 사이의 간격에 반비례

커패시턴스는 두 판 사이에 있는 물질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에 따라 달라짐

전기장에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교류 전하의 흐름을 방해

커패시턴스의 특성
매우 우수한 전기 도체인 금속으로 된 커다란 두 개의 얇은 평판을 상상
두 판은 오직 1피트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가정
이 두 장의 금속판이 배터리의 양단에 연결된다면, 한 장은 양(+) 전하로 다른 한 장은 음(-) 전하로 각각 전기적 충전이 될 것

만약 판이 작다면, 두 판은 모두 거의 순간적으로 충전
두 판이 크기 때문에 음전기 판이 최대의 음 전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 양전기 판이 최대의 양 전위에 도달하는 시간 동일 소요

두 판과 두 판 사이의 공간이 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 : 커패시턴스 (capacitance) 특성
수량 혹은 변수로서 커패시턴스는 이탤릭체 대문자 C로 표기


실용적 커패시터
유효 표면적을 얻기 위한 커패시터 구성
금속막(foil)의 두 박판(sheet) 혹은 조각(strip)을 서로 한 판 위에 다른 한 판을 위치
종이와 같은 비전도성의 얇은 판으로 두 판을 격리
전체적인 구조물을 말아서 커다란 유효표면적 발생
다른 방법으로는 각기 여러 판을 갖는 금속판 세트를 두 개 만들고 두 세트 사이를 공기로 채워 함께 맞물린(meshed) 형태로 만듦

커패시터에서 두 판 사이에 특정 종류의 유전체(dielectric)를 끼워 넣으면 전속 밀도 증배

커패시턴스는 전도성 판(plate)이나 박판의 표면적에 정비례

전도성 박판 사이의 간격에 반비례

커패시턴스는 두 판 사이에 있는 물질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에 따라 달라짐


커패시턴스의 단위
배터리가 커패시터의 두 판에 연결할 경우 두 판 간의 전위차는 커패시턴스에 따라 일정 비율로 상승
커패시턴스가 크면 클수록, 두 판 사이 전압의 시간 변화율은 더욱 느림

커패시턴스의 단위는 두 판이 충전될 때 ‘흐르는 전류’와 ‘두 판 사이 전압의 시간 변화율’ 간의 비율로 표현
1패럿[F]의 커패시턴스는 1V/s의 전압 증가가 있을 때, 1A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의미
1F의 커패시턴스는 또한 1C의 전하량에 대하여 1V의 전위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커패시턴스의 단위는 마이크로패럿[μF] 과 피코패럿[pF]

커패시터의 물리적 크기는 다른 모든 요인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하면, 감당할 수 있는 전압에 비례
정격 전압이 높으면 높을수록, 소자의 크기는 점점 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