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언어적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형태는 크게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눌 있다. 언어를 통 의사소통은 이나 이루어지며,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이었다. 우리는 말이나 글이라 언어를 통해 가치나 지각 또는 정보를 주고받는다. “언어는 사람을 가장 표현한다. 하라. 그래야 당신을 알 수 있다.” 격언처럼 생각이나 느낌 우리가 전하려 하는 메시 지를 드러내어 표현할 있는 언어이며, 또한 다른 사람의 메시지를 드러내어 들을 있는 것이 언어이다.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사실적인 지식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감정이나 의미의 섬세한 차이를 제대로 전달하기 어려울 있다. ‘ 다르고, 다르다 속담이 언어적 의사소통의 미묘한 차이를 암시하고 있는데 다음에서 차이를 느껴보자.

1) 영국의 시의회에서 주급 20달러를 내세워 잡는 사람 모집했는데 지원자가 없었다. 의회는 다시 광고를 내기로 했다. 다만 단어를 바꿔 설치류 수색원 모집 이라고 했다. 결과는 주급 18달러로 3명을 뽑을 있었다.

2) ‘4쌍 중 1쌍의 부부가 이혼한다 ‘4쌍 중 3쌍의 부부는 성공적으로 결혼을 유지한 어떤 차이로 다가오는가?

이처럼 양날의 칼과 같은 <언어적 의사소통은 이해의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사소 통 할 때 흔히 표현 측면에만 주목하는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려면 <’표현 이해 과정을 모두> 고려해야 하겠다. 그리고 사용하는 말이 같으면 뜻도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 지만, 언어란 상징이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같은 의미를 주지 못한다. 장에서는 말하기 위해, 또한 듣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언어적 의사 소통의 지침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이나 업무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의 사소통 상황들과 상황에 따른 유의점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